서울시 3040 여성 지원 우먼업 구직 지원금 신청 자격 및 방법(90만원 지원)
- 카테고리 없음
- 2023. 4. 15.
서울시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여성의 경제 활동 촉진하고 경력 단절 예방하기 위해 취업 및 창업의 의지가 있는 30-40대 여성에게 최대 90만 원을 지원합니다. 선착순 2,500명 한정으로 지원할 예정임으로 빠르게 신청을 해야 합니다. 신청 자격이 되면 아래 링크에서 바로 신청해 보세요.
⭕️ 목차
- 신청 방법
- 신청 자격
- 구비 서류
- 선정 방법
- 확정 및 지원금 지급
1. 신청 방법
서울시 우먼업 구직 지원금 신청은 온라인을 통해 접수하지 않고, 방문 신청과 이메일 접수로만 가증합니다. 온라인 신청페이지가 5월 중으로 오픈 예정이기하는 하지만 조기 마감 될 것으로 예상되니, 두 가지 방법 중 본인이 빠르게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접수하세요.
첨부된 신청서를 양식에 맞게 작성 본인이 거주하고 있는 곳에서 가까운 여성인력개발 기관 중 한 곳을 선택하여 방문 신청 또는 이메일로 제출하면 됩니다.
아래에 각 신청 기관 홈페이지를 남겨드릴 테니, 집에서 가까운 곳을 확인해서 빠르고 편하게 신청하세요.
여성 인력 개발 기관
여성인력개발기관 | 위치 | 홈페이지 |
서울시 여성능력개발원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89, 7층 |
바로가기 |
남부여성발전센터 | 금천구 독산로50길 23 | 바로가기 |
동부여성발전센터 | 광진구 아차산로30길 36 | 바로가기 |
북부여성발전센터 | 노원구 동일로207길 50 | 바로가기 |
서부여성발전센터 | 양천구 남부순환로371 | 바로가기 |
중부여성발전센터 | 마포구 토정로35길 17 | 바로가기 |
강동여성인력개발센터 | 강동구 양재대로 1458 길동빌딩 5,6층 | 바로가기 |
강북여성인력개발센터 | 강북구 덕릉로108 현웅빌딩 3층 | 바로가기 |
강서여성인력개발센터 | 강서구 까치산로134 화곡빌딩 5층 | 바로가기 |
관악여성인력개발센터 | 관악구 쑥고개로75 광장빌딩 1층~5층 | 바로가기 |
구로여성인력개발센터 | 구로구 공원로63 희훈타워빌 2층 | 바로가기 |
노원여성인력개발센터 | 노원구 공릉로 187 건설빌딩 5층 | 바로가기 |
동대문여성인력개발센터 | 동대문구 왕산로 60-1 포은빌딩 6층 | 바로가기 |
동작여성인력개발센터 | 동작구 사당로299 이수텐빌딩 2~5층 | 바로가기 |
서대문여성인력개발센터 | 서대문구 신촌역로 10 혜우빌딩 4층 | 바로가기 |
서초여성인력개발센터 | 서초구 강남대로 216 양재플라자 3층 | 바로가기 |
성동여성인력개발센터 | 성동구 성수이로22길 37 성수아크밸리 5층 | 바로가기 |
송파여성인력개발센터 | 송파구 중대로9길 34 대호빌딩 2층 | 바로가기 |
영등포여성인력개발센터 | 영등포구 영중로 61 | 바로가기 |
용산여성인력개발센터 | 용산구 청파로 139-21 | 바로가기 |
은평여성인력개발센터 | 은평구 녹번로 76 | 바로가기 |
장애여성인력개발센터 | 강서구 화곡로346 귀뚜라미홈시스텔 2층 | 바로가기 |
종로여성인력개발센터 | 종로구 대학로11길 23 스타시티빌딩 2~4층 | 바로가기 |
중랑여성인력개발센터 | 중랑구 망우로32길 20 대림빌딩 | 바로가기 |
정릉여성새로일하기센터 | 성북구 솔샘로5길 92 | 바로가기 |
중구여성새로일하기센터 | 중구 다산로32길 5 | 바로가기 |
도봉여성새로일하기센터 | 도봉구 방학로12길 28 | 바로가기 |
한국IT여성새로일하기센터 | 서초구 바우뫼로 87 한국IT직업전문학교 | 바로가기 |
2. 신청 자격 (지원 대상)
서울시 우먼업 구직지원금 신청은 공고일(모집 시작일) 기준 1️⃣ 서울시에 거주하면서 2️⃣ 만 나이 기준 30세 이상 49세 이하로 3️⃣ 창업 또는 취업을 하지 않으면서 4️⃣ 가구소득이 중위 소득 150% 이하 여합니다. 선착순으로 접수를 받고 있으니 자격 조건이 되면 바로 신청해 보세요.
✅ 거주 요건 : 공고일 기준 서울시 주민등록 거주자
✅ 신청 연령 : 만 30세 - 만 49세
✅ 취·창업 여부 : 미취업자 또는 미창업자
⭕️ 미취업자 (고용보험 미가입자)
현재 취업인 상태이더라도 주 30시간 미만의 단기 근로자도 신청이 가능합니다. 만약 고용보험에 가입된 근로자는 주 30시간 미만 근로시간이 확인 가능한 증빙자료(사업자명, 근로자명, 날인 포함)를 제출하여야 합니다.
⭕️ 미창업 (사업자등록증 미보유자)
미창업자는 사업자등록증이나 휴업신고를 하는 등 실제사업을 하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증명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휴업증명서를 제출하시면 됩니다.
✅ 소득요건 : 가구소득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소득요건의 경우 주민등록등본 상 가구 기준이며, 공고일 전원 건강보험료 월 부과액을 기준으로 산정됩니다. 중소소득 조회는 아래 '중위소득 조회하기' 링크를 통해 하시면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습니다.
가구 구모별 소득 기준표
1인 | 2인 | 3인 | 4인 | 5인 | 6인 | |
중위소득 100% | 2,077,892 | 3,456,155 | 4,434,816 | 5,400,964 | 6,330,688 | 7,227,981 |
중위소득 50% | 3,116,838 | 5,184,233 | 6,652,224 | 8,101,446 | 9,496,032 | 10,841,97 |
3. 구비서류
지원금 신청은 현재 온라인으로 받지 않고 서류 제출로만 받고 있습니다. 필요한 서류는 아래에 첨부하였습니다. 다운로드하여 접수하기 실 바랍니다.
✅ 제출서류
- 신청서 (구직 활동 계획서 포함) 1부
- 주민등록등본 1부
- 건강보험납부확인서, 건강보험자격확인서 각 1부
-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에 관한 동의서 1부
- 필요시 추가 증빙 서류 1부
- 가구원 건강보험 자격확인서, 납부확인서 (등본상 가구원이며 건강보험 별도가입 시)
- 가족관계증명서 (주거를 달리하는 경우 다른 건강보험 피부양자로 등재 시)
- 직접일자리사업 참여확인서 (30시간 미만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경우에만 시간명시 후 제출)
- 근로계약서 [30시간 미만 취업근로자(고용보험가입자)]
4. 선정방법
지원금 선정 1단계는 서류 검토로 진행됩니다. 서류를 바탕으로 기본적인 자격 조건이 되는지 확인을 합니다. 자격 조건을 만족하지 못할 경우 1단계어서 탈락이 됩니다.
1단계를 통과하고 나면 2단계로 구직활동 계획을 평가하게 됩니다. 평가항목 점수 기준 75점을 통과해야 합니다.
구분 | 평가항목 | 평가기준 | |
1단계 | 서류검토 | 1️⃣ 서울시 거주 및 만30세 - 49세 충족 2️⃣ 미취업, 미창업 근로자 또는 30시간 미만 글로자 3️⃣ 기준 중위 소득 150% 이하 |
자격조건 3가지 모두 충족시 통과 |
2단계 | 구직활동 계획평가 | 1️⃣ 이력서(자기소개서포함) 제출 시 (25점) 2️⃣ 지원동기 및 목적 (35점) 3️⃣ 구직활동계획 (40점) |
75점 미만인 경우 부적격 |
5. 확정 및 지원급 지급
필요한 서류를 모두 제출하고 나면 신청 접수일 15일 이내 합격 여부가 통보가 됩니다. 합격 통보를 받게 되면 신한카드 모바일 앱을 설치해야 합니다. 혹시 신한카드 앱을 설치하지 않았다면 아래 구글플레이스토어 링크를 통해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1차 금액 지급은 구직지원대상 확정 통보 후 15일 이내 지급이 됩니다.
2차 지원금은 1개월 차 구직활동결과 보고서 제출 확인 후 지원이 되며, 3차 지원금은 2개월 차 구직활동 보고서 제출 후 지급이 됩니다.
아래는 함께 보면 좋은 글입니다. 대상이 되신다면 같이 읽어보고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2023.04.13 - [분류 전체 보기] - 서울시 청년 대중 교통비 지원 신청 방법 및 대상 (연간 10만 원)
서울시 청년 대중 교통비 지원 신청 방법 및 대상 (연간 10만원)
서울시는 서울에 거주하고 있는 청년들에게 대중 교통비를 지원하는 사업을 진행합니다. 사용한 대중 교통비 이용 금액의 20%를 연간 최대 10만 원 한도 내에서 지원해 줍니다. 공짜로 받을 수 있
csen.nblogos.com